관절(joints)- 가동 관절(synovial joints)
가동 관절은 기본적으로 6개로 분류할 수 있다. 구상 관절 (condyloid/ellipsoid joint), 평면 관절( plane joint), 안장 관절 (saddle joint), 절구 관절 (ball and socket joint), 경첩 관절 (hinge joint), 중쇠 관절 (pivot joint)로 나눌 수 있다.
움직임의 가동범위에 따라 단축, 2개의 축, 그리고 3개의 이상의 축으로 움직이는 관절로도 나눌 수 있다.
1 면(movement 1 plane)- 경첩 관절, 중쇠 관절
2 면(movement 2 plane)- 평면 관절, 구상 관절, 안장 관절
3 면 (movement 3 plane)- 절구 관절
중쇠 관절(pivot joint)
둥근 모양의 뼈 끝이 다른 뼈의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 매치되어 인대로 연결되어 있다. 중쇠 관절에서는 뼈의 회전의 움직임이 1면에서만 일어난다.
경첩관절 (hinge joint)
경첩 관절에서는 한쪽 뼈끝의 볼록한 부분이 연결되는 다른 한쪽 뼈끝의 오목한 부분이 이어져 관절을 이루는데, 경첩 관절의 경우 굴곡과 신전의 움직임만 할 수 있어 일축 성관 절(uniaxial joint)이라고 한다.
구상 관절(condyloid joint)
구상 관절에서는 약간 하강한 뼈 끝과 다른 인접한 둥그런 부분의 뼈 끝이 연결되는 관절이다.
구상 관절은 두 축으로 움직임이 일어나 이축 성관 절(biaxial joints)라고 한다.
안장 관절(saddle joints)
관절의 형태가 말의 안장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안장 관절이라 불리고 한쪽이 오목하게 들어간 반면 다른 한쪽 뼈 끝은 볼록한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안장 관절 역시 이축성 관절(biaxial joint) 두 축으로 움직임이 일어나지만 다축 성(multiaxial joint) 관절로 분류하기도 한다.
평면 관절(plane joint)
평면 관절에서는 연결되는 두 뼈의 끝이 약간의 곡선이거나 평평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어 비슷한 모양을 서로 가지고 있어 약간의 슬라이딩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주변의 인대들로 약간의 움직임만 가능하게 하지만 이 역시 이축성 관절 또는 다축 성 관절로 분류하고 있다. 보통 이축 성관 절로 많이 분류하고 앞과 뒤, 옆으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움직임은 약간 미끄러지듯이 발생된다.
절구 관절( ball and socket joint)
가동 관절 중에서 가장 큰 가동범위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한쪽 끝의 뼈가 둥그런 공 형태로 되어 있고 연결되는 뼈는 오목한 모양으로 공을 담을 수 있는 컵 형태로 되어 있어 인접하게 연결된다. 고관절(hip joint)과 어깨관절/ 관절 와 상완 관절( glenohumeral joint/ shoulder joint) 이 절구 관절로 분류할 수 있다.
절구 관절은 다축 성관 절(multiaxial joint)로 분류할 수 있고, 대퇴골과 상완골이 앞과 뒤로 움직임 수 있고 옆으로 움직임도 가능하며, 회전도 가능한 관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