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해부학 과 운동 생리학(anatomy & physiology)

관절(joints)- 가동 관절(synovial joints)

granola 2022. 9. 27. 10:31
반응형

가동 관절은 기본적으로 6개로 분류할 수 있다. 구상 관절 (condyloid/ellipsoid joint), 평면 관절( plane joint), 안장 관절 (saddle joint), 절구 관절 (ball and socket joint), 경첩 관절 (hinge joint), 중쇠 관절 (pivot joint)로 나눌 수 있다.

 

움직임의 가동범위에 따라 단축, 2개의 축, 그리고 3개의 이상의 축으로 움직이는 관절로도 나눌 수 있다.

 

1 면(movement 1 plane)- 경첩 관절, 중쇠 관절

 2 면(movement 2 plane)- 평면 관절, 구상 관절, 안장 관절

3 면 (movement 3 plane)- 절구 관절

 

중쇠 관절(pivot joint)

둥근 모양의 뼈 끝이 다른 뼈의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 매치되어 인대로 연결되어 있다. 중쇠 관절에서는 뼈의 회전의 움직임이 1면에서만 일어난다.

좌:중쇠관절, 우:경첩관절

 

 

경첩관절 (hinge joint)

경첩 관절에서는 한쪽 뼈끝의 볼록한 부분이 연결되는 다른 한쪽 뼈끝의 오목한 부분이 이어져 관절을 이루는데, 경첩 관절의 경우 굴곡과 신전의 움직임만 할 수 있어 일축 성관 절(uniaxial joint)이라고 한다.

 

구상 관절(condyloid joint)

구상 관절에서는 약간 하강한 뼈 끝과 다른 인접한 둥그런 부분의 뼈 끝이 연결되는 관절이다.

구상 관절은 두 축으로 움직임이 일어나 이축 성관 절(biaxial joints)라고 한다.

안장 관절(saddle joints)

 관절의 형태가 말의 안장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안장 관절이라 불리고 한쪽이 오목하게 들어간 반면 다른 한쪽 뼈 끝은 볼록한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안장 관절 역시 이축성 관절(biaxial joint) 두 축으로 움직임이 일어나지만 다축 성(multiaxial joint) 관절로 분류하기도 한다.

 

평면 관절(plane joint)

평면 관절에서는 연결되는 두 뼈의 끝이  약간의 곡선이거나 평평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어 비슷한 모양을 서로 가지고 있어 약간의 슬라이딩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주변의 인대들로 약간의 움직임만 가능하게 하지만 이 역시 이축성 관절 또는 다축 성 관절로 분류하고 있다. 보통 이축 성관 절로 많이 분류하고 앞과 뒤, 옆으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움직임은 약간 미끄러지듯이 발생된다. 

 

절구 관절( ball and socket joint)

 

가동 관절 중에서 가장 큰 가동범위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한쪽 끝의 뼈가 둥그런 공 형태로 되어 있고 연결되는 뼈는 오목한 모양으로 공을 담을 수 있는 컵 형태로 되어 있어 인접하게 연결된다. 고관절(hip joint)과 어깨관절/ 관절 와 상완 관절( glenohumeral joint/ shoulder joint) 이 절구 관절로 분류할 수 있다. 

절구 관절은 다축 성관 절(multiaxial joint)로 분류할 수 있고, 대퇴골과 상완골이 앞과 뒤로 움직임 수 있고 옆으로 움직임도 가능하며, 회전도 가능한 관절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