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해부학 과 운동 생리학(anatomy & physiology)
성장기 아동·청소년에게 꼭 필요한 부상 예방
granola
2025. 4. 12. 15:45
반응형
아이들의 뼈는 어른과 다르다? (MSK Differences)
성장기 아동은 성인과 근골격계 구조가 다릅니다.
- 긴 뼈 양 끝에는 **연골판(Growth Plate)**이 존재하며, 이 부위에서 뼈가 자랍니다.
- 이 연골판은 매우 취약한 부위로, 충격이나 과사용으로 쉽게 손상될 수 있습니다.
🔎 반면, 성인은 인대나 힘줄이 더 약한 부위로 작용합니다.
📷 위의 엑스레이에서 보이듯,
- 아이의 무릎 뼈는 아직 분리된 성장판이 있고,
- 성인의 뼈는 이미 완전히 융합되어 있습니다.
아포피시스 손상이란?
**아포피시스(apophysis)**는 근육이 뼈에 붙는 부위로,
이는 **이차 골화 중심(secondary ossification center)**입니다.
📌 이 부위는 특히 청소년기 운동선수에게서 과사용 손상이나 급성 골절이 잘 발생합니다.
대표적인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골반 주변: 장골극, 좌골결절, 대전자
- 허벅지/엉덩이 근육이 강하게 당기는 부위
📍 반복적인 훈련과 스트레칭 없이 갑작스러운 움직임 → 손상 유발!
부상 위험 요소
- 기존 부상 이력
→ 과거 부상이 있던 아이는 3~5배 더 높은 재부상 위험 - 높은 BMI
→ 체중이 많이 나가는 청소년은 2배 높은 부상 위험, 발목 염좌 3배 이상 - 조기 스포츠 전문화
- 사춘기 전부터 한 종목만 집중할 경우 부상 위험 증가
- “자유 놀이보다 조직화된 훈련의 부상률이 2배”
연령보다 많은 주당 운동 시간 → 부상 위험 증가

과사용 손상은 어떻게 발전할까?
과사용 손상은 다음 4단계로 진행됩니다:
- 활동 후 통증 발생
- 활동 중 통증 (하지만 경기력은 유지됨)
- 활동 중 통증이 경기력 저하로 이어짐
- 휴식 중에도 만성 통증
👉 이 단계까지 가기 전에 초기 개입이 매우 중요합니다!
건강한 운동, 똑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 조기 전문화보다 운동 다양화와 놀이 중심 활동
🔹 성장기에는 연골판과 아포피시스 손상에 주의
🔹 과거 부상 이력과 체중은 고려 요소
🔹 운동 문해력이 평생 건강한 삶의 기반이 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