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와 유방 손상: 유방 건강과 예방 관리
운동선수들에게 유방 건강은 중요한 주제이지만, 많은 경우 간과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유방 손상(Breast Injuries)**은 컨택 스포츠(contact sports)나 격렬한 운동을 하는 여성 운동선수들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적절한 유방 지지(support)와 스포츠 브라 착용이 운동 시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유방 해부학, 손상 유형, 스포츠 브라 선택 방법 및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유방 해부학 및 발달 (Breast Anatomy and Development)
✔ 유방 조직의 구성
성숙한 여성의 유방 조직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됩니다.
섬유지방조직 (Fibroadipose)
섬유선 조직 (Fibroglandular Tissue)
혈관 (Blood Vessels)
신경 (Nerves)
림프 조직 (Lymphatic Tissue)
유방 조직의 구성 비율은 연령, 인종, 체질량지수(BMI), 호르몬 상태, 임신 여부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 유방을 지지하는 쿠퍼 인대 (Cooper’s Ligament)
- 유방을 지탱하는 3차원 거미줄 형태의 섬유 조직
- 유방의 모양과 탄력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함
✔ 유방의 위치와 신경, 혈류 공급
- 유방 조직은 대흉근(pectoralis major), 전거근(serratus anterior), 외복사근(external oblique), 복직근(rectus abdominis) 위에 위치
- 운동 중 근육을 통한 힘 전달이나 **직접적인 충격(direct trauma)**으로 인해 유방 조직이 손상될 수 있음
유방 조직의 신경 지배
- 유방의 감각은 제2~6 늑간신경(intercostal nerves) 및 **쇄골상 신경(supraclavicular nerves)**을 통해 전달됨
유방 혈류 공급
- 내흉동맥(internal thoracic artery)의 천공 가지
- 액와동맥(axillary artery) 가지
2. 유방 손상의 위험 요인 (Risk Factors for Breast Injuries)
✔ 청소년기 유방 손상의 영향
- 유방 조직의 발달은 호르몬의 영향을 받음
- 청소년기에 발생한 유방 외상은 형태 이상, 비대칭(asymmetry), 성장 중단, 향후 수유 능력 저하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음
✔ 임신 및 수유 중 유방 변화
- 수유 중 유방은 더 돌출되고, 표면적이 증가하며, 섬세한 선 조직(glandular tissue)의 비율이 높아짐
- 혈류량이 2배 증가하여 손상의 위험이 커짐
- 수유 중 유방 손상 시 **유방 내에 모유가 스며들어 출혈성 염증(bleeding into breast tissue)**이 발생할 수 있으며,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함
3. 유방 통증 (Types of Breast Pain)
✔ 운동 유발 유방 통증 (Exercise-Induced Breast Pain)
- 과도한 유방 움직임과 관련됨
- 트렁크의 수직 움직임이 클수록(예: 달리기 > 걷기) 통증 증가
- 적절한 스포츠 브라 착용으로 완화 가능
✔ 호르몬성 유방 통증 (Mastalgia)
- 생리 주기와 관련된 통증(순환성) 또는 유방 낭종, 섬유선종, 감염, 수술 후 발생하는 비순환성 통증
- 관리 방법: 적절한 유방 지지, 온·냉찜질, 스트레스 관리, 체중 감량, 카페인 섭취 감소, NSAIDs(소염진통제) 사용
4. 운동 참여의 장벽 (Barriers to Participation)
- 큰 가슴을 가진 여성
- 유방암 수술 후 운동하는 여성
- 청소년 및 성인 여성
📌 해결 방법: 낮은 충격의 운동(필라테스, 요가, 수중 운동 등) 선택
5. 스포츠 브라의 중요성 (Importance of Sports Bras)
- 스포츠 브라는 운동선수에게 필수적인 보호 장비
- 특히 달리기, 점프, 상체를 강하게 사용하는 운동에서 중요함
- 한 시간 동안 달리기 시 유방은 약 10,000번 튀어 오름
- 적절한 스포츠 브라는 자세를 교정하고, 어깨 및 상체의 과사용 부상을 예방
✔ 스포츠 브라 선택 요소
강한 지지력을 가진 밴드
개인 취향에 따라 선택 가능한 언더와이어(단, 컨택 스포츠에서는 피하는 것이 좋음)
유방 전체를 덮는 브라 컵
넓고 패딩 처리된 어깨끈
개인 취향에 따른 스트랩 방향 (효과 차이는 없음)
DD컵 이상의 경우, 두 개의 브라를 착용해야 충분한 지지가 가능할 수도 있음
스포츠 시즌 전, 유방 지지력과 스포츠 브라 적합성 평가가 필수
6. 유방 손상 (Breast Injuries)
- 직접적인 충격으로 발생하며, 통증·멍·부종·변형 동반 가능
- 컨택 스포츠에서 더 흔하게 발생
- 의료진에게 보고되는 사례가 10% 미만 (과소보고됨)
- 운동선수들은 대개 유방 손상이 있어도 경기에 계속 참여
- 그러나 달리기, 강한 팔 동작이 제한되며 경기력 저하 가능성 존재
유방 보형물이 있는 선수는 유방 손상 시 더욱 주의해야 함
7. 피부 마찰 손상 (Friction Injuries)
- 운동복과 땀이 반복적으로 마찰되면서 피부 손상 유발
- "조깅 유두(Jogger’s Nipple)": 남성 운동선수에게 더 흔함
- 고위험군: BMI 높음, 장거리 달리기, 큰 가슴, 나이 증가
📌 마찰 손상의 예방 방법
적절한 브라 착용 교육
부드러운 재질과 땀을 흡수하는 소재의 스포츠 브라 선택
마찰 방지 크림, 테이핑, 연고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