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곽출구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 TOS): 원인, 증상 및 치료 방법
흉곽출구증후군(TOS)이란?
흉곽출구증후군은 제1늑골과 쇄골 뒤쪽 부위에서 신경혈관 다발(neurovascular bundle)이 다양한 구조물에 의해 압박을 받아 상지(팔과 손)에 증상을 유발하는 증후군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 하지만, 어떤 구조물이 압박을 가하는지, 어떤 신경 또는 혈관이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없습니다.
신경인성 흉곽출구증후군(Neurogenic TOS)
신경인성 TOS는 머리와 목 부위의 주요 외상 후 발생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스트레스에 의해 점진적으로 발병할 수도 있습니다.
🔹 주요 원인:
✔ 교통사고 등으로 인한 머리/목의 급성 외상
✔ 반복적인 상지의 과사용 (예: 오버헤드 동작 반복)
✔ 선천적으로 경늑골(Cervical Rib)을 가진 경우 → 발병 가능성이 더 높음
관련 요인
🔹 경늑골(Cervical Rib): 일부 사람들에게 선천적으로 존재하는 추가적인 늑골로, 신경 및 혈관을 압박하여 TOS를 유발할 수 있음
🔹 가속-감속(acceleration-deceleration) 손상
🔹 경추(목) 손상 및 만성 목 통증
🔹 운동선수의 두통 및 목 통증
흉곽출구증후군의 증상
TOS는 다양한 신경 및 혈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주로 상지(팔과 손) 및 목 주변에 불편감을 초래합니다.
🛑 주요 증상:
✔ 손, 팔, 어깨의 통증
✔ 감각 이상(저림, 이상 감각, Paresthesia)
✔ 근력 약화
✔ 목 통증
✔ 후두부(뒷머리) 두통
✔ 사각근(Scalenes) 부위의 압통
✔ 레이노 현상(Raynaud’s phenomenon, 손의 혈류 장애로 인해 손가락이 창백해지는 증상)
진단 방법
📌 흉곽출구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해 다양한 검사 방법이 활용됩니다.
🔎 진단 절차
✔ 신체 검사 (Scalenes 및 쇄골 주변 부위의 압통 확인)
✔ X-ray 촬영 → 경늑골 여부 확인
✔ 특수 검사(Special Tests)
- 상지 긴장 검사(Upper Limb Tension Test, ULTT)
- 90/90 검사 (90도 어깨 외전/외회전 테스트)
치료 방법
TOS의 치료는 증상의 정도와 원인에 따라 다르지만, 비수술적 치료가 우선적으로 적용됩니다.
🏥 비수술적 치료
✔ 활동 패턴 수정(활동 조절, 무리한 오버헤드 동작 회피)
✔ 자세 교정(Postural Training) 및 운동 요법
✔ 상지(UL) 유연성 및 가동 범위(ROM) 운동
✔ 신경 차단(Nerve Block) 또는 보톡스(Botox) 치료
⚠ **수술적 치료(Surgical Options)**는 물리치료가 효과가 없을 경우에만 고려됩니다.
흉곽출구증후군(TOS)은 신경 및 혈관 압박으로 인해 팔, 손, 목에 통증과 감각 이상을 초래할 수 있는 복합적인 증후군입니다. 초기에는 자세 교정, 운동 요법 및 생활 습관 변화를 통해 관리할 수 있으며,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경우 추가적인 치료 옵션이 필요합니다.
⏳ 반복적인 팔 사용이 많거나 목 부상 이력이 있는 경우,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