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흉부 및 가슴 통증: 원인, 진단 및 치료

granola 2025. 3. 7. 14:41
반응형

운동선수 및 일반인 모두에게 **흉부 및 가슴 통증(Thoracic and Chest Pain)**은 중요한 문제입니다. 가슴과 흉부 통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근골격계 문제(MSK Issues)**뿐만 아니라 심장·호흡기·소화기 질환과 관련될 수도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흉부 및 가슴 통증의 원인, 감별 진단, 치료 및 예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흉부 통증 (Thoracic Pain)

✔ 흉추(Thoracic Spine)와 관련된 통증

  • 흉추 통증은 상지(팔), 경추(목), 요추(허리), 심폐기능, 내장 기관과도 연관될 가능성이 있음
  • 가장 흔한 근골격계 문제:
    흉추 관절 또는 디스크 손상
    추간 관절(면 관절, Zygapophyseal Joints)
    늑골(rib) 손상
  • 일반적인 증상:
    ✅ 통증 및 움직임 장애
    척추 주변(paraspinal) 및 견갑부(periscapular) 근육 이상
    흉추 관절 문제 → 가슴의 측면 또는 앞쪽 벽으로 방사통 유발 가능
  • **흉추 디스크 탈출(Thoracic Disc Prolapse)**은 드물지만 과소보고될 가능성이 있음
    ✅ 진단을 위해 영상검사 필요 (MRI, CT)

✔ 진료 접근법 (Clinical Approach)

📌 흉추 통증을 평가할 때 고려할 요소
✅ 경추, 흉추, 요추를 종합적으로 평가
✅ 통증의 위치 및 발생 원인 파악
✅ 운동 후 발생하는 통증 → 기계적 원인(mechanical cause) 가능성
✅ 아침 기상 후 발생하는 통증 → 염증성 원인(inflammatory cause) 가능성

📌 신경학적 증상 확인
✅ 감각이상(저림, 따끔거림 등)
레드 플래그(red flags) 증상 확인

  • 원인 불명의 체중 감소
  • 발열
  • 야간 통증 (악성 종양 의심 가능)
  • 전신질환 가능성

✔ 신체 검사 (Physical Exam)

✅ 흉추의 각 분절(ROM) 운동 범위 평가
✅ 척추 주변 및 견갑부 근육 촉진
✅ 척추 정렬(비대칭, 척추 측만증, 후만증 등) 평가
✅ 근육 경련 및 피부 변화 관찰 (자율신경 이상 가능성)

📌 영상 검사 (Imaging)
✅ 일반적으로 흉추 방사선 촬영(X-ray)은 필요하지 않음
✅ 다만, 아래와 같은 경우 시행 가능

  • 척추 측만증(scoliosis)
  • 추간판 성장판 이상(Scheuermann’s disease)
  • 이차성 신생물(암 전이 등)
    CT/MRI: 디스크 탈출 의심 시 검사

2. 흉추 추간 관절 및 늑골 손상 (Intervertebral Joint and Rib Injuries)

  • 대부분의 손상은 **추간판(intervertebral disc), 늑골 관절(rib articulations), 면 관절(facet joints)**과 관련됨
  • 급성 또는 점진적 발병 가능
  • 증상:
    ✅ 관절의 운동성 저하
    ✅ 촉진 시 압통
    ✅ 연관통 발생 가능

📌 치료 방법
도수 치료(manipulation/mobilization): 운동 범위 회복
연부조직 치료(soft tissue therapy): 주변 근육 문제 해결
유발점 치료(trigger point therapy): 침술 또는 마사지 활용 가능

3. 가슴 통증 (Chest Pain)

  • 35세 미만 운동선수의 가장 흔한 원인은 흉추에서 유래한 연관통(referred pain from the thoracic spine)
  • 성인 운동선수의 경우 심장 문제 고려 필수
    ✅ 호흡곤란(SOB), 심계항진(두근거림), 가족력 존재 시 심장 문제 가능성 증가
    남성 지구력 선수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위험 증가

📌 흉통의 기타 원인
✅ 위궤양(peptic ulceration)
✅ 위식도 역류질환(GERD)
✅ 흉부 감염(chest infection)
✅ 악성 질환(malignancy)

4. 흉부 외상 및 늑골 손상 (Chest Trauma & Rib Injury)

중증 흉부 외상은 응급 상황
늑골 타박상(bruising) 또는 골절(fracture)은 흉추 면 관절 이상을 초래할 수 있음
흉골-쇄골 및 늑연골(costochondral) 손상도 발생 가능

📌 흉부 외상의 평가
외상이 있는 경우 → 늑골 손상 가능성 높음
외상이 없는 경우 → 근골격계 질환, 심장·위장·호흡기 원인 구분 필요
심장 문제 → 호흡곤란, 심계항진, 발한 동반 가능
호흡기 문제 → 기침 및 객담 발생
위장 문제(역류성 식도염 등) → 음식 관련 통증, 명치 부위 통증

📌 영상 검사
✅ 흉부 X-ray → 골절 여부 확인
✅ MRI → 늑골 피로골절(stress fracture) 평가 가능
✅ 심전도(EKG), 심초음파 → 심장 질환 감별

✔ 늑골 골절 및 흉부 손상의 치료 (Treatment)

진통제(analgesia) 사용
깊은 호흡 유도 (무기폐 예방)
통증 감소 시 운동 복귀 가능
컨택 스포츠 선수 → 보호 패드 착용 고려

5. 흉골-쇄골 관절 손상 (Sternoclavicular Joint Injuries)

쇄골과 흉골을 연결하는 관절로, 해부학적으로 불안정
강한 인대 구조로 지지됨
후방 탈구(posterior dislocation) → 주변 혈관 및 기관(기도, 식도 등) 손상 가능성 → 응급 치료 필요

📌 치료 방법
1~2도 염좌 → 증상 치료 + 12주간 보호대 착용
전방 탈구 → 교정 후 34주간 보호대 착용

 

6. 늑골 피로골절 (Rib Stress Fracture)

가장 흔한 위치: 4~5번 늑골의 전외측(anterolateral ribs)
위험 요인

  • 반복적인 늑골 견인(traction)
  • 저골밀도(low bone density)
  • 흉추 움직임 제한(hypomobility)
  • 훈련량 증가
    운동 종목: 조정(rowing), 골프, 야구 투구

📌 치료 방법
2~6주간 상대적 부하 감소
늑골 압박 피하기
운동 복귀는 통증에 따라 조절
생체역학적 문제 해결(흉추 신전 부족, 견갑골 기능 이상 등)

흉부 통증은 원인을 정확히 감별하는 것이 중요!

운동선수와 일반인 모두 흉부 통증이 발생하면 근골격계, 심장, 위장 및 호흡기 문제를 감별해야 합니다.

🏋️‍♂️ 적절한 평가와 치료를 통해 통증을 관리하고, 운동 복귀를 안전하게 진행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