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속-감속 손상이란?
가속-감속 손상(Acceleration-Deceleration Injury)은 **‘채찍질 손상(Whiplash)’**이라고도 불리며, 충격 후 목이 비정상적인 "S" 모양을 형성하는 기전으로 발생합니다.

📌 발생 기전(Mechanism):
💥 충격 후
✔ 하부 경추(lower c-spine)와 상부 흉추(upper t-spine) → 신전(Extension)
✔ 상부 경추(upper c-spine) → 굴곡(Flexion)
⚡ 이 과정은 충격 후 60~100ms(밀리초) 이내에 발생
📌 반응 속도 비교:
✔ 자세 반사(Postural reflex): 100ms
✔ 자발적 반응(Voluntary response): 250ms
⚠ 즉, 손상 과정이 너무 빠르게 진행되어 신체의 보호 반응보다 먼저 발생
주요 손상 부위
📌 인대 손상(Ligament Damage)
- 전종인대(Anterior Longitudinal Ligament, ALL) 손상 → 심각한 경우 경추 골 변위(Displacement) 유발 가능
- 스포츠 부상 후 아탈구(Subluxation) 발생 시 → 딱딱한 경추 보호대(Cervical Collar) 착용 후 2~4주 간격으로 X-ray 촬영 필수
📌 연조직 손상(Soft Tissue Injury)
✔ 흉쇄유돌근(SCM), 사각근(Scalenes), 견갑거근(Levator Scapulae) 손상 가능
✔ 대부분의 경추 손상은 인대 염좌(Ligament Sprain), 근육 긴장(Muscle Strain), 타박상(Contusion) 포함
✔ 골절 및 신경 증상 없음 → 운동 선수는 다음 조건 충족 시 복귀 가능:
✅ 통증 없음 (축 방향 부하 포함)
✅ 완전한 가동 범위(Full ROM)
✅ 정상 근력(Full Strength)

경추 손상의 심각성(Cervical Spine Injuries Severity)
⚡ 경추 손상의 예후는 심각도와 손상 부위에 따라 달라짐
✔ 1) 손상 정도(Severity)
- 척수 손상(Spinal Cord Injury) 포함 여부
✔ 2) 손상 부위(Location)
- C5 이상 손상(C5보다 위쪽 손상 시 예후가 나쁨)
- 호흡 및 혈액 순환 기능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 있음
경추 손상 인식 및 응급 대응(Recognition & Treatment)
📌 C-스파인(C-Spine)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 즉시 조치 필요
🚨 C-Spine 응급 프로토콜 발동 조건:
✔ 의식 소실(Loss of Consciousness) 또는 의식 변화
✔ 양측 신경학적 증상(손발 저림, 감각 이상 등)
✔ 척추를 따라 심한 통증
✔ 눈에 띄는 척추 기형
📌 응급 치료
✔ 경추를 중립 위치로 안정화(Stabilize in Neutral Position)
✔ 🚫 견인을 가하지 않음(Do NOT Apply Traction)
✔ 수동적으로 고정 후(Foam blocks, straps 사용) 추가 장치 적용
✔ 기도 유지(ABC: Airway, Breathing, Circulation) 최우선
✔ 🏥 스포츠 팀 닥터 또는 응급 트레이너가 병원 동반 이동
C-스파인 정렬 및 장비 제거(Reading C-Spine & Equipment Removal)
📌 C-Spine 정렬 시 주의점
✔ 기도 확보를 위해 목을 정렬할 필요가 있는 경우 신중하게 정렬
✔ 하지만, 다음 상황 발생 시 즉시 정렬 중단:
🚨 통증 증가
🚨 신경학적 증상(감각 이상, 근력 저하) 발생
🚨 근육 경련(Muscle Spasm) 유발
📌 장비 제거
✔ 기도 확보가 필요하다면 헬멧 및 보호장비 제거 고려
✔ 헬멧이 완전히 제거될 경우 어깨 보호대도 함께 제거하여 정렬 유지
✔ 스포츠별 특성 반영:
🏒 라크로스 헬멧(Lacrosse Helmet) → 구조상 SCI(척추 손상) 발생 시 제거 필요
🏈 헬멧 착용 스포츠(미식축구, 아이스하키 등) → 헬멧 제거 후 중립 정렬 유지 필요
예방 방법(Prevention)
🚴♂️ 선수(Athletes)
✔ 올바른 태클 및 컨택 기술 습득
✔ 수영장 안전 규칙 준수(Pool Protocols)
💪 운동 트레이너(Athletic Trainers)
✔ C-스파인 손상 즉시 인식 및 대응 능력 필수
✔ 응급 행동 계획(EAP, Emergency Action Plan) 숙지
🔧 장비 담당자(Equipment Personnel)
✔ 헬멧 및 보호 장비의 유지 보수 철저 (녹슬거나 결함 발생 방지)
✔ 최신 장비 사용 보장
🏥 의료진 및 응급 구조대(Physicians & Emergency Personnel)
✔ 스포츠별 특화된 장비 제거 기술 숙달
만성 목 통증(Chronic Neck Pain)과 BPS 접근법
📌 목 통증(Neck Pain)은 단순한 해부학적 손상뿐만 아니라, 생물심리사회적(Biopsychosocial, BPS) 관점에서 접근해야 함
✔ 정확한 병리 해부학적 진단(Pathoanatomical Diagnosis)은 어려울 수 있으나, 이것이 치료를 불가능하게 하지는 않음
✔ 심리적 요인, 스트레스, 삶의 질 등도 고려해야 함
가속-감속 손상(Whiplash)과 C-스파인 손상은 신속한 인식과 적절한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스포츠 부상 예방을 위한 올바른 기술 습득과 장비 관리가 중요하며, 부상 발생 시 즉각적인 응급 조치가 필요합니다.
🏥 특히, 척수 손상 가능성이 있는 경우 즉시 의료진의 평가를 받아야 하며, 신경학적 증상이 발생하면 철저한 관리가 요구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