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급성 목 부상: 원인, 증상, 및 치료 방법

by granola 2025. 3. 14.
반응형

스포츠 활동 중 갑작스러운 충격이나 반복적인 긴장으로 인해 목 부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접촉 스포츠에서는 신경 손상과 운동 능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부상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목 부상과 관련된 주요 근육

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 기시(Origin): C1–C4 경추 횡돌기
  • 정지(Insertion): 어깨뼈 안쪽 위쪽 모서리
  • 기능(Action): 어깨뼈를 들어 올리고 아래쪽으로 회전

흉쇄유돌근 (Sternocleidomastoid)

  • 경추의 주요 굴곡근
  • 기시(Origin): 흉골의 앞쪽과 위쪽, 쇄골 내측 3분의 1
  • 정지(Insertion): 측두골 유양돌기 및 후두골
  • 기능(Action): 경추를 굴곡하고 측면으로 회전, 양쪽이 함께 작용하면 머리를 앞으로 당김

정상적인 목의 가동 범위 (ROM, Range of Motion)

✔ 턱을 가슴 쪽으로 당기기 (경추 굴곡)
✔ 천장을 바라보기 (경추 신전)
✔ 측면으로 45도 기울이기 (측굴)
✔ 턱을 어깨 쪽으로 회전하기 (측면 회전)

급성 목 부상의 원인과 증상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 손상

상완신경총은 어깨, 팔, 손의 근육을 조절하는 신경망입니다. 심한 충격, 신경 압박, 또는 신경이 찢어지는 경우 부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팅거(Stinger)’ 또는 ‘버너(Burner)’ 부상

📌 주로 미식축구, 럭비, 레슬링 선수들에게 발생
📌 두 가지 주요 기전:

  1. 견인(traction) 손상
    • 어깨가 아래로 눌리고, 반대쪽으로 목이 기울어질 때 발생
  2. 압박(compression) 손상
    • 경추 신전 및 같은 방향으로 측굴할 때 발생

또한, 직접적인 타격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음
반복적인 스팅거 부상을 경험하는 선수는 척추관 협착증(Spinal Stenosis) 위험이 있을 수 있음

스팅거/버너 증상

✔ 어깨와 목에서 타는 듯한 통증, 팔로 퍼질 수 있음
주로 C5-C6 신경근에 영향을 미침
✔ 팔의 저림, 감각 이상 및 근력 약화
환부에 따뜻한 감각
대부분 수 초~수 분 내 사라지지만, 510%의 경우 몇 시간며칠간 지속될 수 있음

치료 및 경기 복귀 기준

🏈 증상이 완전히 사라지기 전까지 운동 복귀 금지
🏋 목 통증이나 근력 저하가 남아 있다면 복귀 불가
💪 근력이 정상적으로 회복되고, 전체적인 가동 범위(ROM)가 확보된 후에만 복귀 가능

🚨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

  • 양쪽 팔에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 증상이 며칠간 지속되는 경우
  • 심한 목 통증이 동반되는 경우

 

급성 목 부상, 특히 상완신경총 손상은 적절한 치료와 재활이 필수적입니다. 선수들은 증상이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신중하게 관리해야 하며, 반복적인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목 근육 강화, 올바른 자세 유지, 보호 장비 착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