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30

운동 생리학- 호흡계 (respiratory system) part3 폐 환기(pulmonary Ventilation) 공기는 간단하게 말하면 기체의 혼합물인데, 이는 공기가 높은 압력에서 낮은 압력으로 흐르는 것을 알 수 있다. 공기가 폐로 흘러들어갈 수 있는 이유는 반드시 외부의 압력보다 폐의 압력이 낮아야 공기가 들어 올 수 있다. 특별히 폐 내부의 폐포의 압력이 낮아야 폐에서 공기 교환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숨을 들이 쉴 때 폐의 부피를 크게 만들어 압력을 낮추면 외부의 공기가 폐 내부로 들어 올 수 있게 된다. 우리가 폐의 크기를 키울 때는 흉곽의 사이즈를 키우면서 가능해진다. 흉곽은 넓어지고 횡경막은 아래쪽으로 수축 됨으로써 , 흉곽이 넓어지게 되어 있다. 숨을 들이 마실 때에는 갈비뼈가 바깥쪽과 위쪽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로 인해 흉골뼈가 앞쪽으로 움직이게 .. 2022. 3. 5.
다이어트 식이요법 3가지 (키토제닉 다이어트, 고탄수 다이어트, 저지방다이어트) 건강이나 다이어트를 위해 주요 영양분 섭취를 주로 다루는데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평균적인 다이어트- 높은 탄수화물 섭취량과 보통의 지방과 단백질 섭취량 2. 키토제닉 다이어트:저탄수 고단백 다이어트- 낮은 탄수화물 섭취량과 높은 단백질과 지방 섭취량 3. 저지방 다이어트- 낮은 지방의 섭취량 1.1. 고탄수 다이어트- 높은 탄수화물 섭취량과 보통의 지방과 단백질 섭취량 이 다이어트 또는 식이요법은 55-60%의 탄수화물 섭취, 20-30%의 지방, 15-20 % 단백질 섭취량을 추천하고 있다. 고탄수의 다이어트를 하는 동안에는 섭취량의 칼로리가 칼로리를 소모하는 비율보다 낮을 때, 체중 감량효과를 볼 수 있다. 고탄수 다이어트는 하루에 500-1000 칼로리의 에너지 손실을 추천하고, 그렇.. 2022. 3. 3.
운동생리학- 호흡계(the respiratory zone) part 2 공기가 전도 구역(conducting zone)을 지나 호흡 구역으로 들어오게 된다. 호흡 구역-Respiratory Zone 호흡 구역은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곳을 말한다. 공기의 흐름을 보면 종말 세기관지(therminal bronchiole)에서 더 깊이 나누어 들어가 보면 호흡 세기관지(resppiratory bronchioles로 들어가게 된다. 호흡 세기관지를 또 나누면, 폐포관(alveolar ducts)으로 깊이 나누어 볼 수 있다. 폐포(alveoli)는 공기가 도달하는 폐의 마지막 장소이다. 폐포는 기체, 즉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교 펜더는 장소이기도 하다. 150만 개가 넘는 폐포가 각각의 폐에 존재하고 있다. 밀도가 높은 모세혈관들은 각각의 폐포들을 감싸고 있어 가스 .. 2022. 3. 2.
운동 생리학- 호흡계(Respiratory system) part.1 호흡계의 시스템은 신체에서 가스교환 즉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신체외부의 공기와 혈액 그리고 조직세포에서 교환해 신체의 항상성 유지에 기여한다 - 또한, 혈액의 pH를 조절하고 공기를 흡입해 인체에 필요하지 않거나 해로운 입자들을 걸러내고 신체 수용기를 통해 냄새를 맡으며, 소리를 생산하고, 물과 열을 공기를 내뱉는 과정에서 없애는 역할을 한다. - 호흡은 자율신경기능들의 한 부분으로서, 자발적으로 의식적으로 조정할 수 도 있다. 호흡계를 구조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upper respiratory tract- 코와 구강,인두(咽頭: 식도와 후두에 붙어 있는 깔때기 모양의 부분) 를 포함한다. lower respiratory tract- 후두(larynix)(목소리를 내는곳), 기도(trachea), 기.. 2022. 3. 1.
생물에너지- ATP 시스템, 아나볼릭, 카타볼릭, 메타볼릭 생물에너지 생물에너지는 살아있는 유기체 안에서 에너지의 변환 과정을 탐구하는 것을 말하고 신진대사를 포함하고 ,에너지가 어떻게 생산되는지 상용화되는지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쉽게 말하면, 우리가 음식을 섭취하고 분해하고 에너지를 발산해 움직이고 사는 것을 말한다. 신진대사(metabolism)는 화학적 반응들의 신체 안에서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화학적 반응(chemical reaction) 은 화학적 결합이 일어나거나 분해가 딜 때 발생한다. 반응은 저장되어 있는 에너지를 이용해 단순 분자들을 복합 분자들로 변환시키는데 이를 동화작용 (anabolic )이라고 부른다. 또 다른 반응은 복합분자들을 단순 분자들로 분해하면서 발생하는데 이를 이화 작용(catobolic)이라고 부른다. 이때 이화 작용이 일.. 2022. 2. 28.
운동 생리학 -근육 (muscular system) part2 근육의 흥분성수축 결합(Muscle excitation-Contraction Coupling) 두가지의 활동이 연결 되어 있다는 의미를 말하는데, 1) 근육활동전위(muscle action potential) : 흥분성을 나타내는데, 외부의 자극 또는 정보들이 운동신경으로부터 신경접합부를 지나 근섬유로 통하는 것이다. 이때 근초(sarcolemma) ; 엷은막, 가로세로관(T-tubule)을 지난다. 2) 근필라멘트의 역학적 슬라이딩(the sliding filament mechanism) 근수축이 일어나는 현상을 말하고 이 때에는 , 서로 엑틴과 미오신이 서로 슬라이딩하듯이 잡아당겨 근 분절 양쪽에 Z-disc 를 M-line 에 가깝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이 두가지의 운동이 같이 일어나기 때문에 우리.. 2022. 2. 27.
운동 생리학- 근육 조직(muscular system) 근육 조직 골격근육, 심장근육, 장근육 등을 포함해 600개가 넘는 근육들이 신체에 존재하고 있다. 보통 근위계(myofascial system; 근막 +체계)라고도 부른다. 근막이라고 하는 결합조직들과 근육섬유들이 서로 통합적인 관계로 신체에 분포하고 있다. 접두사 myo 나 mys 가 붙으면 근육을 뿌리로 두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sarco- 로가 붙으면 근육을 뜻하는것이다. 예를 들어 , Myocyte는 근세포, myofibril 은 근원 세포, sarcolemma는 근섬유초, sarcoplasm 은 근 형질이다. 근육 근육의 가장 주요한 기능은 화학적 에너지를 역학적 에너지로 바꿀 때 힘을 작동하고, 일을 수행하고 , 움직임을 생산해내는 것이다. 1) 몸의 움직임을 만들어내고, 조절하고, 속도.. 2022. 2. 26.
운동 생리학- 골격계( skeletal system) part 2 골세포(bone cell) 골세포는 골을 더 역동적으로 살아있는 조직으로 만들어준다. 다섯 개의 주요 골세포들이 있는데, 1. osteoprogenitor cells골조상 세포- 골 줄기세포라고 불리고, 골 줄기세포에서 세포를 분리해 그 세포가 골아세포로 발달한다. 2. osteoblast(골모세포, 골아세포)- 유기골질을 분비하여 뼈를 만들고, bone mineralization을 조절한다. 3. osteocyte(골세포)- 골세포가 성숙한 단계이며 osteoblast에서 유래되며, 골질에 의해 갇히게 되고, 더 이상 유기질을 분비하지 않는다. 4. bone lining cells 골 내층 세포- 평평한 세포들이고 , 유기질들을 유지시켜주는데 도와주고, bone remodeling 이 일어나지 않는 포.. 2022. 2. 25.
Pronoun대명사 .대명사와 소유격 형용사 pronouns and Possessive adjectives Subject Pronoun Object Pronoun Possessive Pronoun Possessive Adjective singular I/you/she,he,it me/you/her,him,it mine/yours/hers,his my/your/her,his,its plural we/you/they us/you/them ours/yours/theirs our/your/their 1-1. 대명사는 명사 대신에서 쓸 수 있다. 앞에 선행된 명사 대신 반복을 피하기 위해 쓸 수 있다. ex> I read a book, it was good. -> 대명사 it 은 앞에 선행되는 book을 대신해서 쓰이고 있다.(단수.. 2022. 2. 25.
운동생리학-골격계(skeletal system) part 1 골격, 골격계는 뼈, 연골, 인대, 관절 들로 구성되어 있고 몸의 20%를 차지하고 있다. 뼈는 대부분의 골격을 구성하고, 연골은 특정한 곳에 위치해 있다.(갈비 연골costal cartilage, 관절 연골articular cartilage) 인대들은 뼈와뼈를 연결해주고 , 관절의 안정성을 극대화 시킨다. 기능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몸을 지지해주고 신체 기관들을 보호해주고 신체의 움직임을 도와주고 혈액세포들을 생산하고 minearal 항상성을 지켜주고 fat 을 저장해주며, 호르몬을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신체에는 4가지의 조직으로 나눌수 있는데, 신경조직, 근육조직, 상피조직, 결합조직, 그 중에 뼈는 기관으로서 분류하는 모든 조직들이 모여 있고 공통된 기능을 위해 협력하는 곳이다. 뼈 그 자체로 연결.. 2022. 2.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