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04

기초생체역학(biomechanics)-인체의 골반(the human hip) 인체의 골반(the human hip joint) 구조와 기능 - 골반은 머리, 팔 그리고 몸통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 힘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며, 다리의 정렬을 가능하게 한다.(발도 다리의 정렬을 가능하게 한다.) - 무릎에 통증이 생기거나 문제가 생겼을 때, 골반을 치료하면 무릎도 나아질 수 있다. 골반대(pelvic girdle) 우리는 흔히 골반이 하나의 뼈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2개의 무명골 또는 좌골 (2coxa or innominate bone)로 이루어져 있다. 치골결합(symphysis pubis)과엉덩관절(sacroiliac joint) 이 두 개의 좌골을 연결시켜주고 있다. 치골 결합- 골반 앞쪽에 위치하며 섬유질의 연골로 약간의 움직임이 있는 관절(amphiarthrodi.. 2022. 1. 7.
기초생체역학(biomechanics)-손목 과 손(wrist and hand) 손목과 손(wrist and hand) 기능 - 다관절로 이루어진 손의 모든 관절을 조정하고 손 근육들의 협응력이 가능하게 하고 큰 힘을 발휘하는데 관여하기도 하지만 주로 디테일한 기능적인 움직임을 보여준다. - 기능적인 움직임 측면에서 보면, 다양한 종류의 사물들을 잡을 수 있고, 우리 스스로 먹을 수 있고, 생존을 위한 것들을 운반 할 수도 있다. - 인체의 관절 중에 가장 복합적인 관절로 여겨지고, 재활 측면에서 볼 때도 아주 복잡하기 때문에 특별하게 구분 되어져 있다. 손목 관절(carpus joint) 요수근 관절 또는 손목관절( radiocarpal joint)과또는 손목뼈중간관절(midcarpal joint)이있다. 이 두관절에 의해 인체의 손의 움직임이 발생한다. 손목의 구조를 살펴보면, .. 2022. 1. 6.
기초생체역학(biomechanic)- 팔꿈치(ELBOW) 기능 -팔을 늘렸다 줄였다 할 수 있고, 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굴곡과 신전, 회내와 회 외전의 움직임이 나타난다. -팔꿈치는 팔 전체 움직임에 있어 안정성을 제공해준다. (어깨, 손, 손목) 전완(forearm) 두 개의 관절이 존재하는데, 상요 척관절(proximal radio ulnar joint)과 원위 요척관절(distal radio ulnar joint) 이 있다. o 가동관절, 단축성의 회전 관절(uniaxial pivot joint) o 4개의 근육이 포함되어 있다. - 회내와 회외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o 회내를 일으키는 근육들: 원형 회내근(pronator teres), 방형 회내근( pronator quadratus) o 회외를 일으키는 근육들: 상완이두근( biceps .. 2022. 1. 5.
기초생체역학-어깨복합체(shoulder complex) 기초 생체역학- 어깨 복합체 어깨 복합체의 구성으로는 - 견갑대(shoulder girdle) : 어깨뼈, 견갑골(scapular), 쇄골(clavicle), 상완골 근위부(proximal humerus) - 관절 와 상완 관절(glenohumeral joint) : 관절 와(glenoid fossa); 어깨뼈 바깥쪽의 얕게 오목한 부분 , 상완골 근위부(proximal humerus) 각 부위의 기능은, 견갑대는 어깨의 가동성(mobility)과 안정성(stability) 을제 공해 주고, 이는 척추와 동일한 기능 가동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제공해준다. 어깨관절은 큰 가동범위를 가지는 특징이 있어서, 즉 가동성이 안정성보다 더 크게 나타나고 이는 고관절의 가동성보다 더 큰 가동범위를 갖는다. 그렇게 때문.. 2022. 1. 4.
맨몸스쿼트30일 15000개-관절의 가동성과 안정성 운동을 오래 해왔지만, 어깨 부상과 함께 오랫동안 약 8개월을 하체 운동을 하지 않은 채로 지내왔다. 그러다가, 어깨도 조금씩 나아지고, 오랜 슬럼프 끝에 운동을 다시 시작해야 되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하면 좋을지 고민하고 또 고민했다. 부상을 한번 겪고 다니 다시 기초부터 해야겠다는 마음으로, 스쾃 챌린지를 생각했다. 500개씩 30일을 하는 챌린지를 난 시작했다. 너무 오래 쉰 탓에 첫날부터 힘겨웠다. 50개씩 10세트로 나누어서 중간에 쉬는 시간은 약 30초 정도 갖기로 했다. 자세는 풀 스쾃 자세로 너무 빠르지도 않게 몸에 반동을 최대한 안 써보려 애쓰면서 하기 시작했다. 겨우 첫날 500개를 하고 나서는 기분이 좋으면서도 살짝 걱정도 되었다. 30일 동안 안 쉬고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고 해낼 수.. 2022. 1. 4.
기초 생체 역학-인체의 척추( the human spine) 척추는 일반적으로 신경계 시스템 보호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척추 안쪽에 척수(spinal cord)를 보호해주고, 몸통(trunk)의 가동성과 안정성을 제공해주고 신체의 외부의 힘과 내부의 힘을 흡수하고 전달하는 역할도 해준다. 곡선 형태의 척추 모양이 힘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몸통이라는 뜻은, 팔과 다리(limbs)를 뺀 가슴과 등 척추, 골반을 몸통이라 칭한다. 그리고 힘줄과 인대들이 이어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 주기도 한다. 척추의 구성은 - 24 개의 움직일 수 있는 척추뼈(vertebrae)가 있는데 o 경부, 목뼈(cervical) -7개 o 흉부, 가슴뼈(thoracic) -12개 o 요추, 허리뼈(lumbar)- 5 개 - 8-10 개의 fused 척추.. 2022. 1. 3.
기초 생체 역학(biomechanics)- 골격 계의 관절(skeletal articulations) 인체 골격계의 관절(skeletal articulations) 관절의 구조 관절의 구조에는 부동 관절과 가동 관절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부동 관절(Synarthroses): 움직이지 않는 고정된 관절 Sutures( 봉합 선) 예로, 사람의 두 골에 봉합선들이 있다. Syndesmoses (인대 결합)- 예로, 요 척 관절(radioulnar joint) 중간에 있는 섬유 조직들이 요 골과 척 골을 고정 시켜 주고 있다. ->만약 부동 관절들에 부상을 입거나 고통이 느껴진다면, 대부분 수술을 필요로 하게 된다. 운동학 관점에서는 부동 관절에서 할 수 있는 것들이 많지 않다. 반 관절(amphiarthrosis) – 굴절이 한정되어 있어, 살짝 움직일 수 있는 관절을 말한다. 연골 결합(synchondo.. 2021. 12. 31.
기초 생체 역학(biomechanics) -kinetic 과 관련된 기본 용어 기초 생체 역학 Kinetics (동역학)- 힘과 신체의 관계, 그리고 신체 조직들이 다른 형태의 힘에 어떻게 반응 하는지에 알아보고 연구하는 학문이다. Kinetic과관련된 기본적인 개념들에 대해 알아보면, Mass -질량 물질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양을 뜻하고, 약어로는 소문자 m으로 나타내고,단위는 kg으로 나타낸다. Force- 힘 기본적으로 밀거나 당길 때 크기의 규모, 방향이라고 말할 수 있다. 중력도 포함한다 F=ma 기본적인 공식이며, 즉 힘은 질량 곱하기 가속도의 결과를 나타내는 값이라고 한다. 단위는 Newton ( N)을 쓴다. 자유 물체도-Free body diagram 자유 물체도 는 물체에 작용하는 모든 힘을 표시한 것인데, 공기 저항, 중력, 물체의 질량 물체에 가해지는 힘 등.. 2021. 12. 28.
기초 생체 역학- 인트로(해부학적 자세, 면, 축) 기초 생체 역학 biomechanics 생체역학은 생물학, 약학, 물리학, 엔지니어링 같은 다양한 분야들에 이해 영향을 받는다. 주로, 생물학과 물리학과 관련이 깊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생체역학(biomechanics)은 의 하위 분류로 구분되어지기도 한다. 다시 말하면, 인간의 신체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 연구하는 학문이다. Bio+ mechanic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인간의 팔을 예로 들면 bio는 팔뼈, 팔 근육,팔 힘줄, 팔 인대를 말할 수 있고, Mechanic은 팔의 근육의 origin과 insertion 이 관절에 어떤 관계와 영향, 이 두 분야를 합쳐서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 Biomechanics 은 인간의 신체뿐만 아니라, 동물, 식물 등 에도 해당한다. 생체역학(bi.. 2021. 12. 27.
<스쿼트 바이블> 요약:바벨 스쿼트 바벨을 가지고 하는 스쾃의 기술은 맨몸 스쾃의 테크닉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 바벨을 사용하는 것, 즉 외부의 압력이 추가되는 것이기 때문에, 맨몸 스쾃일 때보다 몸이 더 불안정하게 된다. 몸의 안정성은 더 내려가기 때문에, 코어의 중요성은 더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코어의 안정성은 바벨 스쾃를 할 때 얼마나 안정적으로 부상의 리스크 없이 들어 올리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다. 안정성이란 어떤 신체 부위의 주변에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을 때, 이 부분이 움직임에 대항하여 가만히 버틸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안정적인 척추는 육중한 바벨의 무게에 짓눌려 구부러지지 않고, 이에 대항해 가만히 버틸 수 있다. 출처:백재현. (2021). 스쾃 바이블. 대성 의학사. 코어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 단순히 복근 운동을.. 2021. 12.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