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동 해부학 과 운동 생리학(anatomy & physiology)

성장판 손상: 성장기 운동선수에게 중요한 건강 이슈

by granola 2025. 4. 15.
반응형

운동을 즐기는 어린이나 청소년에게는 **성장판 손상(Growth Plate Injury)**에 대한 이해와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성장판은 뼈가 자라는 부위로, 성장기에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매우 약한 구조이기도 합니다.

 성장판 손상이란?

성장판은 뼈의 양 끝에 위치하며, 뼈의 길이를 늘리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 부위는 구조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쉽게 골절 또는 과사용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분류 체계로는 Salter-Harris 분류가 있으며, 손상의 유형과 범위에 따라 분류되어 치료 방침이 달라집니다.

 대표적인 성장판 과사용 손상

리틀리그 숄더 (Little League Shoulder)

  • 위치: 상완골 근위부 성장판
  • 원인: 반복적인 투구 동작으로 인한 스트레스
  • 성인의 경우: 회전근개 손상
  • 아동의 경우: 성장판 손상

🤸‍♀️ 체조 선수의 손목 (Gymnast’s Wrist)

  • 위치: 요골 원위부 성장판
  • 원인: 체중을 지탱하는 동작의 반복
  • 성인의 경우: 손목 충돌 증후군 또는 건병증
  • 아동의 경우: 성장판 손상

 치료 원칙 요약

  1. 통증 조절 – 초기에는 휴식과 함께 아이스 팩 또는 약물 치료
  2. 상대적 안정 및 점진적 회복 – 무리한 활동은 피하면서 점차 운동량 회복
  3. 물리치료 (Physiotherapy) – 관절 가동성 및 근력 회복
  4. 복귀 전 확인 사항
    • 통증 없음
    • 촉진 시에도 통증 없음
  5. 부상 예방
    • 피칭 제한, 충분한 휴식일
    • 체조 기술 습득 단계적 접근
    • 보호 장비 및 스팟팅 사용

 장기적인 예방 전략

  • 청소년 운동 선수 발달 모델을 따르기
  • 신체 문해력(Physical Literacy) 향상
  • 경기 전 건강검진
  • 신경근 훈련 프로그램 도입
  • 재활 완료 후 복귀 권장
  • 스포츠별 가이드라인 준수

📊 실천을 위한 권고사항 (출처: AAFP SORT 기준)

임상 권장사항증거 등급설명
리틀리그 엘보우 예방: 연간 최소 4개월 투구 금지, 레이더건·포수 겸임 금지 C MLB 권고
Osgood-Schlatter 치료: 스트레칭 + 근력강화 C 전문가 의견
심한 경우: 휴식 + 힐컵 + 스트레칭 B 소규모 임상 시험
골연골증은 자가 회복 가능성이 크지만 소아 정형외과 상담 권장 C 전문가 의견
A = 신뢰도 높은 환자 중심 근거 / B = 제한적 또는 일관되지 않은 근거 / C = 전문가 의견, 관행 등

 

 마무리

성장기 청소년의 운동 부상은 성인과는 다르게 다뤄야 합니다. 작은 통증이라도 성장판 손상 가능성을 고려해 조기에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엇보다, 예방과 관리가 최고의 치료라는 점을 잊지 마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