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건문에 쓰이는 기본적인 동사의 형태
조건절의 문장은 만약에 if 절로 생각을 표현할 때 쓰인다. 이러한 조건절은 현재 상황의 사실들 일어나고 있는 사건들에 대해서 말할 때 쓰인다. 초월적인 상황이나 상상의 표현, 불가능한 상황에 대한 표현에도 쓰인다.
현재의 시제에서 진짜일때의 조건절은 'If + 동사원형'을 쓴다.
ex> If I have enough time, I watch TV every evening.
미래의 시제에서 현실가능한 상황에서의 조건절은 'If + will+동사원형' 을 쓴다.
ex> If I have enough time, I will watch TV later on tonight.
비현실적인 현재나 미래의 상황에서는 'If +would +동사원형'을 쓴다.
ex> If I had enough time, I would watch TV now or later on.
사실이 아닌 과거의 상황일 때 'If +would have + 과거분사(p.p)
ex> If i had had enough time, i would have wathced TV yesterday.
2. 현재시제의 조건절과 미래 시제의 조건절
IF + 단순현제
현재시제나 미래 시제의 조건절에서는 사실, 사실적인 생각들을 표현할 수 있다. 단순 현재시제가 조건절에서 사용된다.
결과 절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동사 형태가 가능하다.
ex>) If I don't eat breakfast, I always get hungry I during class
->현재 동사를 사용해 습관적 활동이나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ex> If I don't eat breakfast tomorrow morning, I will get hungry during class.
->단순 미래 시제를 사용해 특정한 활동이나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
ex> Water freezes if the temperature reaches 32° F/0°C.
Water will freeze if the temperature reaches 32° F/0°C.
-> 현재시제나 미래 시제는 또한 이미 정립된 사실, 일반적인 사실, 예측 가능한 사실을 표현할 때 쓰인다.
결과 절은 조동사나 조동사 구를 포함 한한다.
should, might, can, be going to
ex> If it rains, we should stay home.
If it rains, I might decide to stay home.
If it rains, we can't go.
If it rains, we're going to stay home.
명령형의 동사형은 결과 절에 사용 가능하다.
ex> If anyone calls, please take a message.
가끔 should를 조건절에 사용하는데 이때는 현재시제의 사용보다 조금 덜 확실할 때 쓰이지만 기본적으로 의미는 비슷하다. ex> If anyone should call, please take a message.
3. 현재나 미래에서 사실이 아닐 때.
ex> If I taught this class, I wouldn't give tests.
- 실제로는 가르치고 있지 않을 때,
ex> If he were here right now, he would help us.
- 그가 실제로는 여기 있지 않을 때.
ex> If I were you, I would accept their invitation.
- 실제로는 I 가 You 가 될 수 없을 때.
Were는 주어가 단수이든 복수이든 공통적으로 똑같이 쓰인다.
ex> If I had enough money, I would buy a car.
-화자는 차를 원하지만 충분한 돈이 없을 때, Would를 사용하는데, Would는 욕구나 예상할 수 있는 결과를 표현할 때 쓰인다.
ex> If I had enough money, I could buy a car.
-화자는 하나의 가능한 결과를 표현할 때 could를 사용한다. could =would be able to , could는 가능한 옵션을 표현할 때 쓰인다.
4. 사실이 아닌 과거에 대해 표현할 때.
ex> If you had told me about the problem, I would have helped you.
-실제로는 네가 나에게 문제에 대해 말하지 않았을 때를 가정하에 표현한 것이다.
ex> If they had studied, they would have passed the exam.
- 실제로는 그들이 공부를 하지 않아 시험에서 실패했을 때, 예 문장에서 조건문을 사용한 것이다.
ex>If I hadn't slipped on the stairs, I wouldn't have broken my arm
-실제로는 내가 계단에서 미끄러져 팔이 부러지고 나서 예문장을 가정한 것이다.
ex>If I had had enough money, I would have bought a car.
-would는 욕구와 예상 가능한 결과를 표현한다.
ex> If I had had enough money, I could have bought a car.
-could는 가능한 결과를 표현하고 could have bought = would have been able to buy 라 똑같은 의미로 해석된다.
5. 조건문에 쓰이는 진행형 동사 형태
진행형인 상태에서는 조건절에서도 진행형 동사가 쓰일 수 있다.
현재 상황: It is raining right now, so I will not go for a walk.
조건절: If it were not raining right now, I would go for a walk.
현재상황: It was raining yesterday afternoon, so I did not go for a walk.
조건절: If it had not been raining, I would have gone for a walk.
6. 조건문에서 시제를 섞어서 쓸 때.
if 조건절과 결과 절에서는 시제가 다르게 쓰인다. 하나의 절이 현재이면 다른 하나의 절은 과거를 표현한다.
하지만 현재와 과거 시제를 섞어서 쓰는 경우도 존재한다.
현재 상황:I did not eat breakfast several hours ago, so I am hungry now.
조건문: If I had eaten breakfast several hours ago, I would not be hungry now.
현재 상황: He is not a good student. He did not study for the test yesterday.
조건문:If he were a good student, he would have studied for the test yesterday.
7. 조건절에서 If를 생략할 때
were, had , should는 가끔 if 생략한 다음 주어와 동사를 도치시켜 쓰인다.
ex> Were I you, I wouldn't do that.
=if i were you
ex> Had I known, I would have told you.
=if i had known
ex> Should anyone call, please take a message.
=if anyone should call
8. 조건문을 함축시킬 때
ex> I would have gone with you, but I had to study.
-여기서 함축된 의미는 if I hadn't had to stuy
ex> I never would have succeeded without your help.
-여기서 함축된 의미는 if you hadn't helped me
ex> She ran; otherwise, she would have missed her bus.
-여기서 if 절의 함축된 의미는= if she had not run.
9. 과거와 현재에 대한 소망을 표현할 때 (wishes)
Wish는 말하는 이 현실이 다르길 원할 때, 정반대의 현실을 원하지만, 그렇지 않을 때 사용된다.
현재 사실
I don't know French.
It is raining right now.
I can't speak Japanese.
-> wish 사용: wish는 명사절 뒤에 따라온다. 현재 상태에 대한 소망을 표현할 때는 과거 시제를 사용한다.
I wish (that) I knew French.
I wish it weren't raining right now
I wish I could speak Japanese.
과거 사실
John didn't come.
Mary couldn't come.
wish : 과거에 대한 소망을 표현할 때는 과거 완료 시제를 사용한다.
I wish John had come.
I wish Mary could have come.
wish와 hope의 다른 점은 wish는 현재 사실이나 상황에 정반대는 사실이 아닌 것에 대한 표현할 때 사용되고,
hope는 현실 가능한 상황에 대해 표현할 때 쓰인다.
I wish I could come. ( 올 수 없을 때, 실제적으로 오는 것이 정말 불가능할 때 사용)
I hope I can come. {올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할 때, 올 수 있을지도 모를 때.)
10. 미래에 대한 wish 사용 그리고 wish + would
미래에 대한 소망을 표현할 때는 wishes + were going to, could, or would와 함께 사용된다.
화자는 정반대의 미래 상황을 소망할 때 사용된다.
ex> He isn't going to be here next week.
I wish he were going to be here next week.
ex> She can't come tomorrow.
I wish she could come tomorrow.
ex>She won't tell you. I wish she would tell you.
ex> I wish I could go with you - I와 함께 사용될 때는 would 가 아닌 could를 사용한다.
ex> It is raining. I wish it would stop.
wish +would는 말하는 이가 행동이나 사건이 변하길 바랄 때 사용된다.
Wish + would 는 강한 요청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I wish you would leave now.
'영문법(gramm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영문법-명사 (noun) (0) | 2022.04.25 |
---|---|
시제,-현재, 과거에서의 단순 시제와 진행형 시제 (0) | 2022.04.17 |
영어문법-등위 접속사 (coordinating conjunctions) (0) | 2022.03.23 |
동명사와 To 부정사 part 2 (0) | 2022.03.19 |
동명사와 to 부정사 part1 (0) | 2022.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