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급성 발목 부상은 스포츠에서 가장 흔한 부상 중 하나이지만, 발생 빈도는 점차 감소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상은 나이가 많은 운동선수, 경기 중, 그리고 주로 사용하는 다리에 더 자주 발생합니다. 발목 염좌가 가장 흔한 형태이지만, 특정 골절이 염좌로 오인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일부 부상은 예상 회복 기간 내에 치유되지 않아 지속적인 통증과 기능 장애를 유발하며, 이를 "치료가 어려운 발목"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발목의 해부학
인간의 발목은 다음 세 가지 주요 관절로 구성됩니다:
- 거골관절 (Talocrural Joint)
- 하경비관절 (Inferior Tibiofibular Joint)
- 중족하관절 (Subtalar Joint)
발목의 외측은 다음 세 가지 주요 인대로 지지됩니다:
- 전거비인대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ATFL)
- 종비인대 (Calcaneofibular Ligament, CFL)
- 후거비인대 (Posterior Talofibular Ligament, PTFL)

발목의 내측은 강하고 넓은 내측 인대 복합체에 의해 안정화됩니다.
결합부 및 높은 발목 염좌
높은 발목 염좌(High Ankle Sprains)와 관련된 결합부(Syndesmosis)는 다음으로 구성됩니다:
- 전하경비인대 (Anterior 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AITFL)
- 후하경비인대 (Posterior 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PITFL)
- 경간인대 (Interosseous Tibiofibular Ligament, IOL)
- 횡인대 (Transverse Ligament, TL)
높은 발목 염좌는 일반적으로 강한 비틀림으로 인해 발생하며, 치료되지 않으면 만성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임상 평가와 진단
주요 고려사항:
- 부상의 메커니즘(MOI: Mechanism of Injury)
- 통증 부위 및 증상 발생 시점
- 골절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오타와 발목 규칙 (Ottawa Ankle Rules)
오타와 발목 규칙:
- 복사뼈 영역의 통증과 함께:
- 외측 또는 내측 복사뼈의 후면 가장자리/끝부분에서 뼈 압통.
- 부상 직후 또는 응급실에서 체중을 지탱하지 못함.
- 중족부 영역의 통증과 함께:
- 5번째 중족골 기저부 또는 주상골의 뼈 압통.
- 체중을 지탱하지 못함.
불안정성의 유형
- 기능적 불안정성
- 운동선수가 보고한 문제로, 신경근 결핍과 고유수용성 손상에서 기인함.
- 기계적 불안정성
- 임상 검사에서 발견된 문제로, 외상으로 인한 이완이 원인일 수 있음.
치료 및 재활
급성 단계:
- 부상 직후 연조직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급성 단계:
- 부상 후 치료 방법과 현재 증상을 평가합니다.
임상 목표:
- 부상의 등급과 불안정성의 범위를 결정합니다.
- 가동 범위(ROM), 근력, 고유수용성과 같은 기능적 결핍을 평가합니다.
- 종비건 손상이나 골절 등 관련 부상을 파악합니다.
특수 검사:
- 전방 서랍 검사 (Anterior Drawer Test) 및 **외측 경골 경사 검사 (Lateral Talar Tilt)**를 통해 인대 안정성을 확인합니다.
- 런지(lunge) 및 점프(hopping)와 같은 기능적 테스트로 회복 상태를 평가합니다.
급성 발목 부상은 흔하지만, 재발과 만성 불안정성 같은 합병증을 방지하려면 세심한 평가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임상적 추론과 필요한 경우 이미징 검사를 활용한 조기 진단이 운동선수의 회복과 장기적인 결과를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운동학(kinesi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측 발목 염좌: 진단 및 관리 (0) | 2025.02.10 |
---|---|
발목 염좌에 대한 이해 (0) | 2025.02.08 |
마사지 테라피(Massage Therapy): 스트레스 완화와 회복 (0) | 2025.02.03 |
물리 치료 장비 및 치료법 (0) | 2025.01.31 |
경피적 전기 신경 자극(TENS) 및 체외 충격파 치료(ESWT) (0) | 2025.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