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운동 해부학 과 운동 생리학(anatomy & physiology)102

운동 생리학- 골격계( skeletal system) part 2 골세포(bone cell) 골세포는 골을 더 역동적으로 살아있는 조직으로 만들어준다. 다섯 개의 주요 골세포들이 있는데, 1. osteoprogenitor cells골조상 세포- 골 줄기세포라고 불리고, 골 줄기세포에서 세포를 분리해 그 세포가 골아세포로 발달한다. 2. osteoblast(골모세포, 골아세포)- 유기골질을 분비하여 뼈를 만들고, bone mineralization을 조절한다. 3. osteocyte(골세포)- 골세포가 성숙한 단계이며 osteoblast에서 유래되며, 골질에 의해 갇히게 되고, 더 이상 유기질을 분비하지 않는다. 4. bone lining cells 골 내층 세포- 평평한 세포들이고 , 유기질들을 유지시켜주는데 도와주고, bone remodeling 이 일어나지 않는 포.. 2022. 2. 25.
운동생리학-골격계(skeletal system) part 1 골격, 골격계는 뼈, 연골, 인대, 관절 들로 구성되어 있고 몸의 20%를 차지하고 있다. 뼈는 대부분의 골격을 구성하고, 연골은 특정한 곳에 위치해 있다.(갈비 연골costal cartilage, 관절 연골articular cartilage) 인대들은 뼈와뼈를 연결해주고 , 관절의 안정성을 극대화 시킨다. 기능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몸을 지지해주고 신체 기관들을 보호해주고 신체의 움직임을 도와주고 혈액세포들을 생산하고 minearal 항상성을 지켜주고 fat 을 저장해주며, 호르몬을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신체에는 4가지의 조직으로 나눌수 있는데, 신경조직, 근육조직, 상피조직, 결합조직, 그 중에 뼈는 기관으로서 분류하는 모든 조직들이 모여 있고 공통된 기능을 위해 협력하는 곳이다. 뼈 그 자체로 연결.. 2022. 2. 24.
운동생리학- 심혈관계통 (cardiovascular system)part 2 심장 (the heart) 심장은 대략적으로 주먹을 쥔 크기와 비슷한데, 5인치정도의 길이와 3.5인치 정도의 넓이는 가지고 있다. 그리고 두께는 2.5인치 정도 된다. 보통 무게는 성인 여성 250g 정도이고 성인 남성은 300g 정도이다. 심장은 피를 펌핑 하는역할을 하고 혈관을 통해 신체의 조직들에게 피를 전달하게 된다. 심장은 폐 가운데 medastinum 이라는 공간에 해부학적으로 위치해 있고, 이 공간의 흉골부터 척추뼈까지를 말한다. 그리고 횡경막의 첫번째 갈비뼈부터 폐 사이를 일컫는다. 심장은 심막(heart membrane) , 심장벽(heart wall), 심실(heart chambers)로 구성되어 있다. 1. 심막-heart membranes 심장은 더블 심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주.. 2022. 2. 22.
운동 생리학- 심혈관계(cardiovascular system) part 1 심혈관 시스템은 심장과 혈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혈액이 생성되고 몸 전체에 순환을 할 수 있다. 평균적으로 건강한 성인이 하루에 심장 박동 횟수가 100,000 번이고,7000 리터가 피가 우리 몸 전체를 순환하며, 거리로 나타내면 100,000 마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모든 기능은 무의식적으로 일어난다. cardio= heart heart- 심장, vein- 혈관, Artery - 동맥 심혈관( blood vessels) 동맥계- 심장으로부터 피를 받아 전달하는 혈관이다. aorta - 대동맥 arteries- 동맥 arterioles-소동맥 모세혈관(capillaries)- 가스가 교환되는 장소이고 모세혈관 침대라고도 불린다. 정맥계- 피를 심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Vena cav.. 2022. 2.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