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운동 해부학 과 운동 생리학(anatomy & physiology)102

해부학-하체 (골반, 다리, 발목, 무릎, 발) 골반-Pelvis 사람의 골반은 골반뼈(pevic bone), 골반강(pevic cavity), 골반바닥(pelvic floor),회음부(perineum)로 이루어져 있다. 골반뼈(pevic bony) 는 골반대(pelvic girdle), 천골(sacrum), 미골(coccyx) 로 이루어져 있다. 골반대(pevic girdle) 은 불완전한 고리모양으로 두개의 엉덩뼈가 앞쪽에서 치골결합(pubic symphysis) 로 연결되어 있다. 엉덩뼈(hip bone)- hip, coxal 또는 innominate 로 쓸 수 있다. 엉덩이 뼈 -hip bone 장골 Ilium- 가장 큰 뼈로, 가장 윗부분의 그릇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골, 궁둥뼈 lschium- 뒤쪽 하단부에 위치해 있다. 치골, 두덩뼈 .. 2022. 4. 6.
해부학 상체 근육들(가슴, 어깨, 팔꿈치, 손목) 흉골대 근육들 상부등세모근(승모근)-견갑골의 상승(elevation) 과 상향회전(upward rotation)을 담당하는 근육이다. 중간등세모근- 견갑골의 움츠리는 움직임을 담당 하부등세모근- 견갑골의 하강(depression) 과 상향회전을 담당 큰마름근, 능형근(Rhomboid)- 견갑골의 움츠리는 움직임(retraction) 하향회전(downward rotation) 어깨올림근, 견갑거근(levator scapulae)-견갑골의 움츠리기와 햐항회전에 관여한다. 전거근,앞톱니근(serratus anterior)- 견갑골의 전방견인과 상향 회전을 담당하고 늑골의 안정화에 관여한다. 어깨근육들 넓은등근 광배근, 활배근(latissmus dorsi)- 어깨의 신전,내전,회내전을 담당한다. 대원형근, 대원.. 2022. 4. 4.
해부학용어-사지골격,부속골격, 팔다리뼈대( appendicular skeleton)-상지골격(upper limb bones) 사지 골격(appendicular skeleton)을 이루는 구성 흉대-pectoral girdle-팔과 몸통을 잇는 활모양의 구조 상지 골격, 팔뼈 upper limb bones 골 반대-pelvic girdle- 다리와 몸통을 잇는다. 하지 골격, 다리뼈-Lower limb bones 사지골격은 126 개의 뼈들로 구성되어 있고, 부속물이라고 하기도 하고 몸의 주변부라고 하기도 한다. 이러한 골격의 형성은 큰 가동범위의 움직임을 만들어 내고 강한 근육 수축을 시킨다. 그 중의 상지 골격은 64개의 뼈들로 구성되어 있고, 32개의 같은 쪽의 뼈들과 대로 이루어져 있다. 흉대 또는 견갑대-pectoral(shoulder) girdle 불완전한 고리모야으로 상체 윗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견갑대는 견갑부(s.. 2022. 4. 1.
골격의 해부학적 용어-축 으로 이루어진 뼈(Axial skeleton) -1 신체의 골격은 206개의 뼈 , 그리고 32개의 이, 인대, 연골로 이루어져 있다. 골격은 관절에서 만나 이루어진다. 연골은 신체에 다양한 형태로 역할은 하고 있는데, 관절 인대의 경우 뼈를 이어주고, 뼈의 완충제 역할을 해주고 충격을 줄여 뼈 끝부분을 매끄럽게 해 준다. 골격은 축(Axial)으로 형성되어 있는 골격과 부속기관(Appendicular)의 골격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축의 골격은 몸의 가운데 선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설골 Hyoid bone •척추 Vertebral column •흉곽 Thoracic cage • 귓속뼈 Auditory ossicles 부속기관의 골격은 축에서 연장선으로 쭉 뻗어있는 뼈라고 볼 수 있다. • 견대, Pectoral girdle-쇄골과 견갑골로 된.. 2022. 4. 1.
목에 있는 뼈- 경추(Cervical Vertebrae) 와 흉추 (thoracic vertebrae) 경추(Cervical Vertebrae) 목에 있는 뼈는 경추로 불리고 번호를 붙여 C1-C7까지 되어 있다. C1, C2 그리고 C7 은 다른 경추와 각각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다. C1 은 고리뒤통수 관절(atlano-occipital joint)이 형성되어 있고, 머리의 무게를 받치는 역할을 하고 있다. 'ring of bone'라고 불리기도 하고, 척추체(vertebral body)가 존재하지 않고 전방 아치 후방 아치가 lateral masses를 통해 직접 연결되어 있고 검상돌기인 spinous process 가 없는 대신, 앞쪽과 뒤쪽에 툭 튀어나온 결절이 형성되어 있다. C2 는 머리의 50%에 달하는 회전 움직임을 담당하는데 이는 C2의 회전력 때문이고 이는 정중환 축관 절(atlano-.. 2022. 3. 31.
근육의 명칭- 상체의 근육들(머리, 목, 몸통) 골격근의 역할을 힘줄에서 힘을 방출하면서 움직임을 생산하는데, 이러한 힘줄은 뼈에 붙어 있고, 뼈들을 밀거나 잡아 당기는 역할을 한다. 근육을 나누어 보면 , 기시점(orgin): 근육이 붙어 있는 지점으로 고정되어 있는 지점을 말한다. 정지점(Insertion): 근육이 붙어 있는 지점으로 움직이는 곳을 말한다. action: 근육에 의해 일어나는 움직임을 말한다. Innervation: 신경에 의해 자극되는 근육을 말한다. 대부분의 근육들은 기시점은 원위부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는 주로 우리가 근위부의 부위들을 움직여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경향이 잇기 때문이다. 근육의 수축(Muscle contraction) 동심수축(concentric contraction) 근육이 짧아지고, 팽팽하게 한다. 기시점과.. 2022. 3. 28.
해부학 - 축 골격(axial Skeleton)-척추(spine) 척추(Spine) 31개의 척추뼈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척추뼈는 섬유 아교질 원판 모양의 디스크로 나누어져 있다. 척추는 척추안에 척수(spinal cord)를 보호하고 중력에 대항해 똑바로 설 수 있게 안정성을 유지해준다. 인대와 근육들에 의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강화된 척추들로 만들어져 있다. 5개의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7개의 경추(cervical vertebrae:C1-C7) 12개의 흉추(thoracic vertebrae : T1-T12) 5개의 요추 ( lumbar vertebrae : L1-L5) 천추 Sacrum(5개의 융합된 뼈) 미추coccyx (4개의 융합된 뼈) 4개의 커브라인이 경추, 흉추, 요추, 천추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태아형 자세에서는 하나의 커브로 이루어져 잇지.. 2022. 3.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