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운동 해부학 과 운동 생리학(anatomy & physiology)102

운동생리학- 말초신경계(Peripheral nervous system) part.1 신체에서 일어나는 모든 의사소통은 신경계 시스템에 의존하고 내 외부 정보를 받아들이고 반응하는 생리학적 컨트롤을 담당하고 있다. 감각수용기에서 내부와 외부의 변화를 감지하여 정보를 받아들이다. 이러한 정보들을 척수나 뇌를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러고 나서 들어온 정보들을 뇌나 척수에 통합하여, 정보들에 대한 반응, 대항하는 기관들(근육, 분비샘, 조직기관, 등등) 이 작용하게 된다. 감각(sensation); 촉각, 미각, 시각, 청각, 후각 등이 신체 외부에서 변하는 환경을 받아들이는 과정. 인지(perception)- 모든 받아들여지는 감각들을 해석하고, 정리하고 통합하는 것이다. 자기 수용(proprioception)- 관절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이다. 운동 감각(kinesthesia)- .. 2022. 5. 6.
운동 생리학- 신체 구성의 세포 단계( cellular) part.2 세포골격 (cytoskeleton) 세포 골격은 이름 그대로 세포들의 골격을 이루고 있다. 세포 내의 모든 공간을 네트워크처럼 가느다란 실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세포 내의 조직들을 지지해준다. 가장 중요한 기능은, 기계적 자극(mechanical stimuli)을 전기적 활동을 전환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3가지 형태의 세포골격이 존재하는데 1. 미세 섬유(Microfilament)- 얇고 유연한을 갖고 있는 띠 형태의 엑틴단백질이며, 세포의 움직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세포의 모양을 바꾸는 역할을 한다. 2. 중간 섬유(Intermediate filaments)- 거칠고, 용해되지 않는 단백질 섬유로 밧줄의 형태를 띠고 있다. 3. 미소관( Microtubules) 활 형태의 가장 큰 직경을 가.. 2022. 5. 4.
운동 생리학- 신체 구성의 세포 단계( cellular ) part.1 세포는 살아있는 유기체의 구성단위 중 가장 작은 단위이다. 모든 유기체들은 하나 이상의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고, 세포들은 구조적으로 기능적으로 모여 신체를 이루고 잇다. 조직세포는 세포들이 한 팀을 이루어 같은 작용을 하는 것을 말하고, 크게 4가지 조직세포로 구분할 수 있다. 근육조직, 신경조직, 상피 조직, 그리고 결합 조직 세포는 다른 세포로부터 유사분열은 통해서 생성되기 때문에 자유로운 상태로 존재하고 자유롭게 혈액처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조직세포에 합체가 될 수도 있고, 근육세포가 될 수 도 있다. 신체에는 250개가 넘는 종류의 세포가 신체에 존재하고 있다. 세포의 활성화는 세포의 모양, 종류, 등에 따로 정해진다. 세포들의 모양과 그 역할이 다름에도, 모든 세포의 기본적인 구성은 같고 .. 2022. 5. 2.
운동 생리학- 신체 구성의 단계(chemical level) part-2 생화학(biochemistry) biochemistry는 살아있는 생물의 화학적 반응과 구성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신체 내부에서 일어나는 화학적 반응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유기 화합물(organic compounds)과 무기화합물(inorganic compound)과 있다. 유기화합물은 탄소화 결합된 유기물들을 말한다. 신체 내부의 모든 유기화합물은 분자끼리의 공유 결합을 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크다고 할 수 있다. 무기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탄소와 수소 둘 다 포함하지 않은 화합물들로 정의하고 있다 예의적으로 이산화탄소( carbon dioxide) 나 일산화탄소(carbon monoxide) 도 무기화합물으로 정의하는데 이는 화합물에서 탄소가 부족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중요한 것은.. 2022. 4. 28.
운동 생리학- 신체 구성의 단계(chemical level) part-1 우리가 존재하고 있는 우주는 물질과 에너지로 이루어져 있다. 물질과 에너지는 나눌 수 없고, 에너지는 물질을 옮기고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에너지는 질량이 존재하지 않고 일을 하는 수용력을 말하거나 물질을 움직임에 전달하고 물질 사이의 공간을 에너지라고 표현할 수 있다. 모든 살아 있는 유기체들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기능과 성장을 위해서는 에너지가 필요하다. 에너지 운동학에서 다루는 에너지는 크게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운동에너지는 (kinetic energy) 에너지의 움직임을 말하고, 위치 에너지는 (potential energy) 에너지의 위치를 말한다. 물질과 원소 물질을 질량을 가지고 공간을 갖고 있는 모든 것을 말하고, 기체, 액체, 고체 상태로 신체에 존재하고 살.. 2022. 4. 26.
신체 구성 단계와 항상성의 원리 신체의 단계별 조직도 인간의 신체는 구조에 따라 여러 단계로 나눌 수 있다. chemical level-가장 간단한 구조적인 조직 단계는 화학적 단계로 원자들이 모여 분자를 이루는 단계인, 즉 물과 단백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cellular level- 분자들이 특정한 형태로 세포 기관들을 형성하고, 형성된 세포 기관들이 세포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을 하고 있다. 세포는 살아있는 유기체 중 가장 작은 단위로 분류하고 , 그 크기와 모양은 정말 다양하고, 신체 내에서 고유의 기능을 각각 담당한다. Tissue level- 각각의 비슷한 조직들이 모여서 공통의 기능을 갖는다. 신체에 분포하는 조직들을 나누어 보면 상피조직(epitelial tissue), 근육조직(muscle tissue), 결합조직(c.. 2022. 4. 24.
운동 해부학 용어-하체 근육들 명칭(muscle of lower body) 장요근-Iliopsoas- 장요근은 복합 근육으로서 대요근 psoas major과 장근(iliacus)에서 뻗어 나오는 섬유들이 합쳐지는 곳이다. 하나의 근육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원위부의 힘줄이 대퇴골에 붙어있다. 대요근, 큰 허리근-psoas Major- 대퇴골과 골반의 굴곡을 담당한다. 엉덩근, 장근-iliacus- 대퇴골과 골반의 굴곡을 담당한다 넙다리 빗근 sartorius- 골반의 굴곡 내전 회 외전을 담당한다. 무릎의 골곡에도 미세하게 작용한다. 대둔근-gluteus maximus- 가장 크고, 가장 표면에 가깝게 위치해 있고 신체의 뒷면에 있다. 대퇴골과 골반의 신전과 회 외전을 담당한다. 중둔근-gluteus medius- 골반의 옆쪽에 위치해 있으며, 소둔근 위를 덮고 있다. 대.. 2022. 4.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