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운동 해부학 과 운동 생리학(anatomy & physiology)70

목에 있는 뼈- 경추(Cervical Vertebrae) 와 흉추 (thoracic vertebrae) 경추(Cervical Vertebrae) 목에 있는 뼈는 경추로 불리고 번호를 붙여 C1-C7까지 되어 있다. C1, C2 그리고 C7 은 다른 경추와 각각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다. C1 은 고리뒤통수 관절(atlano-occipital joint)이 형성되어 있고, 머리의 무게를 받치는 역할을 하고 있다. 'ring of bone'라고 불리기도 하고, 척추체(vertebral body)가 존재하지 않고 전방 아치 후방 아치가 lateral masses를 통해 직접 연결되어 있고 검상돌기인 spinous process 가 없는 대신, 앞쪽과 뒤쪽에 툭 튀어나온 결절이 형성되어 있다. C2 는 머리의 50%에 달하는 회전 움직임을 담당하는데 이는 C2의 회전력 때문이고 이는 정중환 축관 절(atlano-.. 2022. 3. 31.
근육의 명칭- 상체의 근육들(머리, 목, 몸통) 골격근의 역할을 힘줄에서 힘을 방출하면서 움직임을 생산하는데, 이러한 힘줄은 뼈에 붙어 있고, 뼈들을 밀거나 잡아 당기는 역할을 한다. 근육을 나누어 보면 , 기시점(orgin): 근육이 붙어 있는 지점으로 고정되어 있는 지점을 말한다. 정지점(Insertion): 근육이 붙어 있는 지점으로 움직이는 곳을 말한다. action: 근육에 의해 일어나는 움직임을 말한다. Innervation: 신경에 의해 자극되는 근육을 말한다. 대부분의 근육들은 기시점은 원위부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는 주로 우리가 근위부의 부위들을 움직여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경향이 잇기 때문이다. 근육의 수축(Muscle contraction) 동심수축(concentric contraction) 근육이 짧아지고, 팽팽하게 한다. 기시점과.. 2022. 3. 28.
해부학 - 축 골격(axial Skeleton)-척추(spine) 척추(Spine) 31개의 척추뼈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척추뼈는 섬유 아교질 원판 모양의 디스크로 나누어져 있다. 척추는 척추안에 척수(spinal cord)를 보호하고 중력에 대항해 똑바로 설 수 있게 안정성을 유지해준다. 인대와 근육들에 의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강화된 척추들로 만들어져 있다. 5개의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7개의 경추(cervical vertebrae:C1-C7) 12개의 흉추(thoracic vertebrae : T1-T12) 5개의 요추 ( lumbar vertebrae : L1-L5) 천추 Sacrum(5개의 융합된 뼈) 미추coccyx (4개의 융합된 뼈) 4개의 커브라인이 경추, 흉추, 요추, 천추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태아형 자세에서는 하나의 커브로 이루어져 잇지.. 2022. 3. 18.
해부학 용어 해부학적 용어는 몸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 정의한 것이다. 종류에는 신체의 자세, 신체에서의 방향, 신체 부위의 명칭, 신체 내부의 공간 명칭, 해부학적 면과 축, 움직임에 대한 정의가 있다. 해부학적 용어를 사용하는 용어는 의사소통을 할 때 명확하고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이다. 신체에 대한 연구를 할때, 각각 다른 분야에 의해 행해지지만 용어를 통일해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해부학적 자세. 관찰자를 마주보고 똑바로 선다. 고개와 눈은 정면을 바로 본다. 신체의 하지는 평행을 유지한다. 발은 표면에 평평하게 한 상태로 앞을 향하게 한다. 팔은 몸 옆에 둔 채, 손바닥은 앞을 마주 보게 한다. 우리는 이러한 자세를 중립자세라고 정의할 수 있다. 신체 움직임의 방향이나 부위 명칭을 위해 시작 .. 2022. 3. 15.
운동 생리학- 호흡계 (respiratory system) part3 폐 환기(pulmonary Ventilation) 공기는 간단하게 말하면 기체의 혼합물인데, 이는 공기가 높은 압력에서 낮은 압력으로 흐르는 것을 알 수 있다. 공기가 폐로 흘러들어갈 수 있는 이유는 반드시 외부의 압력보다 폐의 압력이 낮아야 공기가 들어 올 수 있다. 특별히 폐 내부의 폐포의 압력이 낮아야 폐에서 공기 교환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숨을 들이 쉴 때 폐의 부피를 크게 만들어 압력을 낮추면 외부의 공기가 폐 내부로 들어 올 수 있게 된다. 우리가 폐의 크기를 키울 때는 흉곽의 사이즈를 키우면서 가능해진다. 흉곽은 넓어지고 횡경막은 아래쪽으로 수축 됨으로써 , 흉곽이 넓어지게 되어 있다. 숨을 들이 마실 때에는 갈비뼈가 바깥쪽과 위쪽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로 인해 흉골뼈가 앞쪽으로 움직이게 .. 2022. 3. 5.
운동생리학- 호흡계(the respiratory zone) part 2 공기가 전도 구역(conducting zone)을 지나 호흡 구역으로 들어오게 된다. 호흡 구역-Respiratory Zone 호흡 구역은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곳을 말한다. 공기의 흐름을 보면 종말 세기관지(therminal bronchiole)에서 더 깊이 나누어 들어가 보면 호흡 세기관지(resppiratory bronchioles로 들어가게 된다. 호흡 세기관지를 또 나누면, 폐포관(alveolar ducts)으로 깊이 나누어 볼 수 있다. 폐포(alveoli)는 공기가 도달하는 폐의 마지막 장소이다. 폐포는 기체, 즉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교 펜더는 장소이기도 하다. 150만 개가 넘는 폐포가 각각의 폐에 존재하고 있다. 밀도가 높은 모세혈관들은 각각의 폐포들을 감싸고 있어 가스 .. 2022. 3. 2.
운동 생리학- 호흡계(Respiratory system) part.1 호흡계의 시스템은 신체에서 가스교환 즉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신체외부의 공기와 혈액 그리고 조직세포에서 교환해 신체의 항상성 유지에 기여한다 - 또한, 혈액의 pH를 조절하고 공기를 흡입해 인체에 필요하지 않거나 해로운 입자들을 걸러내고 신체 수용기를 통해 냄새를 맡으며, 소리를 생산하고, 물과 열을 공기를 내뱉는 과정에서 없애는 역할을 한다. - 호흡은 자율신경기능들의 한 부분으로서, 자발적으로 의식적으로 조정할 수 도 있다. 호흡계를 구조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upper respiratory tract- 코와 구강,인두(咽頭: 식도와 후두에 붙어 있는 깔때기 모양의 부분) 를 포함한다. lower respiratory tract- 후두(larynix)(목소리를 내는곳), 기도(trachea), 기.. 2022. 3.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