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운동 해부학 과 운동 생리학(anatomy & physiology)102

운동 생리학-신경계(nervous system)- 신경 전달 물질(neurotransmitter), 시냅스(synapse) 신경계 시스템은 신경세포들의 연결된 방대한 순환고리로 만들어져 있고, 각각의 신경세포는 시냅스를 통해 의사소통을 한다. 시냅스는 특별화되어 있는 접합부로써 뉴런(신경세포)끼리의 자극 전달이 이루어진다. 구조조적으로 분류해보면 축색돌기 시냅스(axodendritic synapse), 신경근 시냅스(neuromuscular synapse), 신경 동맥 시냅스( neuroglandular synapse) 들이 있고, 기능적으로 분류해보면 전기적 시냅스와 화학적 시냅스가 있다. 전기적 시냅스는 세포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신경접합을 말하는데 이는 중추신경계나 심장근에서 나타난다. 화학적 시냅스는 신경세포들이 사이와 그리고 신경세포와 근육세포 접합, 신경세포와 분비샘의 접합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전기적 시냅스(el.. 2022. 6. 13.
운동 생리학-신경계(nervous system)-활동 전위(Action potential) 신경세포들(neuron)은 등급 전위(graded ptential)와 활동 전위(action potential)를 통해 전기화학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 등급 전위는 짧은 거리에서 발생하고 활동 전위는 보다 긴 거리의 신경전달에서 이루어진다. 활동 전위는 등급 전위에 의해 촉발되는데 근섬유에서 발생하는 근육 활동 전위(muscle action potentials), 신경세포의 축색돌기에서 이루어지는 신경 활동 전위(nerve action potential)가 있다. 등급 전위와 활동 전위의 형성은 안정 막 전위(resting membrane potential) 일 때 이온을 세포 내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온 채널(ion channel)의 출현에 이해 생성된다. 안정 막 전위에서 전기적 전하가 다르면 .. 2022. 6. 12.
운동 생리학-신경계(nervous system)-신경 조직(뉴런,신경세포종류,신경교세포) 신경조직은 2가지 종류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신경세포와 신경교세포이다. 신경세포는 신경계의 주 세포로서 의사소통을 담당한다. 전기적, 화학적 신호를 통해 세포를 자극한다. 신경교 세포 또는 신경 교질 세포는 신경세포를 지지하고 보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신경세포(neuron) 신경세포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뉴런이다. 신경의 기능적 단위로서, 각각의 뉴런은 자극에 반응, 자극을 전달, 다른 신경계의 세포들과 의사소통을 담당하고 있다. 기능적으로 3가지 신경세포로 나눌 수 있는데 감각신경세포(sensory neuron), 사이 신경세포(interneuron), 그리고 운동신경세포(motorneuron)가 있다. 신경세포의 기본 구성요소 체세포(soma)- 세포의 몸으로서 세포 핵을 감싸고 있고 세포.. 2022. 6. 10.
운동 생리학- 신경계(nervous system)의 기본적인 구조와 기능 신경계는 신체 조직 중에 가장 복잡한 시스템이라고 말할 수 있고, 뉴런이라는 특별화 되어있는 세포가 온몸을 통해 자극을 인식하고 전달하여 반응하는 의사소통을 하는 시스템을 신체에서 형성하고 있다. 신경계는 또한 감각, 움직임, 배우는 것, 기억에 관한 모든 것을 담당한다. 신경계는 해부학적으로 세분화하는데,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CNS), 와 말초신경계(peripheral nervous system;PNS)로 세분화할 수 있다. 중추 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성되어 있고, 말초신경계는 뇌신경과 척수신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경계의 기본적인 기능 감각 다양한 내/ 외부 자극, 예를 들어 촉감, 혈압상승 등을 감각수용체가 탐지하여 이를 신체를 통해 퍼트리게 된다. 뇌신경과 척수신경.. 2022. 6. 9.
운동 생리학-뇌하수체 전엽(anterior pituitary)에서 분비되는 호르몬들 뇌하수체 전엽(anterior pituitary) 뇌하수체 전엽은 태아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소화관의 배아세포로부터 기원하였다. 뇌하수체는 호르몬을 합성하거나 생산하지 않고 대부분 저장하는 역할을 하지만, 전엽에서는 호르몬을 생산하고 분비하는 역할을 한다. 뇌하수체 전엽은 시상하부에서 생산된 호르몬의 자극을 받아 특정 호르몬을 생산하기도 하고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기 위한 호르몬을 분비하기도 한다. 시상하부의 호르몬은 신경에 의해 분비가 되는데 뇌하수체 전엽을 통해 혈류로 흘러가게 되고 줄기세포의 모세혈관들이 시상하부와 뇌하수체를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1. 시상하부에서 호르몬을 분비한다. 2. 시상하부에서 분비된 호르몬이 뇌하수체 전엽을 자극해 다른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한다. 3. 뇌하수체 전엽에서.. 2022. 6. 7.
운동 생리학- 내분비계(endocrine system)-시상하부와 뇌하수체 시상하부=hypothalamus 뇌하수체=pituitary 시상하부와 뇌하수체는 기능적으로 같이 작동하며 시상하부 뇌하수체 축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시상하부는 또한 신경 자극을 통합하여 호르몬을 분비하는데, 분비돼 호르몬들은 혈액을 목표로 하는 신체의 분비샘들로 전달된다. 7개의 호르몬들이 이 축으로부터 분비되는데, 성장, 발달, 신진대사, 항상성을 조절하고 통합한다. 시상하부는 신경계와 내분비계를 연결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상하부(Hypothalamus) 시상하부는 간뇌(diencephalon)의 앞에 위치해 있고 시상의 앞쪽에 위치해 있다. 시상하부는 신경적 기능과 내분비계의 기능을 둘 다 가지고 있다. 많은 호르몬을 생산하고 분비한다. 게다가, 시상하부는 뇌하수체와 기능적으로나 해부학적으로 .. 2022. 6. 6.
운동 생리학- 내분비계(endocrine system)- 호르몬 호르몬은 화학적 전달체로써 혈액에서 순환되어 신체기관의 특정한 세포를 자극하게 된다. 이러한 호르몬의 기능은 신체 항상성 유지를 위해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근세포 활동 조절, 선 분비샘 조절, 신진대사 활동 조절, 성장과 발달 촉진 등의 활동들을 포함한다. 호르몬의 작용에 따라, 내분비작용, 파라크린작용, 자가 분비 작용으로 나눌 수 있다. 내분비 작용- 호르몬의 흐름이 혈액을 통해 전달되어 특정한 세포와 결합하는 작용이다. 파라크린작용- 호르몬이 주변에 있는 세포들을 타깃으로 분산(diffusion)을 통해 분비되는 작용이다. 자가 분비 작용-호르몬들이 같은 세포에 분비되어 작용하는 것을 말한다. 수용성 호르몬과 지용성 호르몬 수용성 호르몬(water soluble) 아미노산을 기본으로 하.. 2022. 6.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