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동학(kinesiology)

종아리 부상의 이해와 관리: 종아리 근육 염좌와 재활

by granola 2025. 2. 15.
반응형

스포츠 활동 중 발생하는 대표적인 부상 중 하나가 바로 종아리 근육 염좌입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하퇴부 해부학, 부상 메커니즘, 임상 접근법, 효과적인 재활 방법 및 재발 방지 전략에 대해 설명합니다.

하퇴부 해부학

하퇴부는 주요 근육이 포함된 여러 구획으로 나뉩니다:

  • 표층 구획: 삼두근(triceps surae)을 포함:
    • 비복근(Gastrocnemius) (내측과 외측 두부로 구성; 내측 두부가 부상에 더 취약)
    • 가자미근(Soleus)
    • 족저근(Plantaris)
    •  
  • 심부 구획:
    • 후경골근(Tibialis posterior, TP)
    • 장지굴근(Flexor digitorum longus, FDL)
    • 장무지굴근(Flexor hallucis longus, FHL)
    • 슬와근(Popliteus)

**아킬레스건(Achilles tendon)**은 비복근과 가자미근의 원위부 힘줄이 결합하여 형성됩니다. 비복근의 "run-out" 부위 손상은 예후가 나쁜 경우가 많습니다.

종아리 근육 염좌: 개요 및 부상 메커니즘

  • 영향받는 스포츠: 축구, 야구, 육상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 부상 부위:
    • 가자미근의 중간 건과 근내 아포뉴로시스가 흔한 부상 부위입니다.
    • 급성 비복근 염좌는 대개 전력질주 또는 폭발적인 움직임에서 발생합니다.
    • 가자미근 부상은 일정 속도의 달리기와 연관이 많습니다.

위험 요인:

  • 나이 증가
  • 종아리 부상 이력
  • 프리시즌 훈련
  • 최근 슬건염 또는 고정
  • 피로와 감소된 종아리 근력
  • 흉터 조직과 감소된 조직 품질

종아리 부상에 대한 임상 접근법

  • 병력 및 증상: 증상의 시작 시점, 특성 및 위치, 운동량, 이전 부상 등을 평가합니다. 가자미근 부상은 심부 통증이나 경련과 유사한 불편함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영상 진단: MRI 또는 초음파는 명확하지 않은 진단, 고위험 부상 등에서 필요합니다.

종아리 부상 재활

  1. 초기 재활 단계:
    • 발바닥 굴곡 기능 회복에 집중합니다.
    • 가능한 한 빨리 저강도 운동을 시작합니다.
    •  
  2. 중기 재활 단계:
    • 근력, 파워, 플라이오메트릭 및 이동 능력 강화에 중점을 둡니다.
    • 달리기를 시작하기 전에 종아리 기능을 충분히 회복해야 재부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3. 후기 재활 단계:
    • 부상 전 수준의 힘, 파워, 기능을 달성합니다.
    • 통제된 드릴에서 시작해 스포츠 관련 활동으로 점진적으로 진행합니다.

(a) 무릎 굽힘 (b) 발가락 움켜쥐기 (c) 발목 안쪽 꺾임 (d) 감소된 높이 (e) 상체 앞으로 기울어짐

복귀 및 재발 방지

  • 복귀 기준: 근력, 파워, 기능, 러닝 강도 회복이 완전해야 합니다.
  • 재발 위험: 대부분의 재부상은 재활 초기나 복귀 후 2개월 이내에 발생합니다. 부하 관리와 지속적인 근력 강화가 중요합니다.
반응형

댓글